문제지(B형)와 동일한지를 체크하기 위해 31번 문제만 표시하였고

자세한 정답풀이보다는 최대한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하였습니다.

 

 

31. 다음은 어떤 마이크로 명령에 의해서 수행되는 경우인가? (단, AC는 누산기임)

MAR ← MBR(AD)

MBR ← M(MAR)

AC ← MBR

가. BUN 명령나. STA 명령

다. ISZ 명령라. LDA 명령

 

 

 

31. 마이크로 명령어 (중요)

 

LDA: 메모리에서 누산기(AC)로 가져오는 명령

STA: 누산기(AC)에서 메모리로 저장하는 명령

=> 보기에서는 AC로 가져 오는 명령이라서 LDA 이다.

 

 

 

 

32. 파이프라인 프로세서

 

2개 이상의 명령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

 

 

 

 

33. 디스크 확장

 

디스크를 확장(배열)하게 되면 용량이 커지고 디스크 전송률이 높아지지만

신뢰도를 낮아집니다.

=>분산, 확장 등 여러 개로 나누어 지는 시스템은 여러가지 이점이 있지만

그만큼 많은 기술을 필요로 하고 시스템 검증이 필요하니, 신뢰도가 떨어질수 밖에 없죠.

 

 

 

34. 스택 (중요)

 

9번 문제와 중복될만큼 중요한 문제인데,

먼저 들어간 데이터가 나중에 나오게 되는 postfix 형태입니다.

 

 

 

 

35. 사이클

 

22번 문제와 중복되는 문제인데,

인터럽트를 끝내게 되면 다음 명령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Fetch State 가 된다.

 

 

 

 

36. JUMP명령

 

상대주소 지정방식에서 점프명령은 다음 명령주소 + 해당주소로 이동하게 되고,

절대주소 지정박식에서 점프명령은 해당 주소로 이동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750번지에서 'JUMP 56' 라면 807번지(750+1 +56 )으로 이동하게 되고,

750번지에서 'JUMP -61' 라면 690번지(750+1 -61 )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절대주소 지정방식이라면 'JUMP 100'일 때 그냥 100번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37. Fetch사이클

 

또 22번 문제와 중복되는데,

Fetch 상태에서는 메모리에서 데이터(명령+오퍼런드)를 가져오는데

명령(instruction)이 실제 수행할 명령어이고 오퍼런드는 그에 따른 값이라고 보면 됩니다.

위 예에서 'JUMP 100' 일때 JUMP 가 명령, 100이 오퍼런드가 됩니다.

 

참고로,

Flag 는 현재 명령어의 상태(계산 결과가 음수인지 양수인지 등등)이고

인터럽트 호출신호는 외부 또는 내부에서 발생한 인터럽트 신호이고,

프로그램 카운터는 현재 실행중인 명령이 있는 메모리 주소입니다.

 

 

 

 

38. 인터럽트

 

인터럽트 요청신호를 받게 되면

인터럽트 취급 루틴(CPU 에서 지정한 주소)으로 간후

인터럽트 처리 루틴(개발자가 인터럽트 처리를 위해 지정한 주소)으로 가서 처리합니다.

 

 

 

 

39. 연관 기억장치

 

보통 기억장치는 주소로 접근하게 되어 있는데

연관기억장치는 주소로 접근하지 않고 기억된 내용으로 기억장치에 접근합니다.

 

캐시 메모리 : CPU의 속도와 메모리의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메모리(기억장치)

 

 

 

 

40. 데이터 용량에 관한 문제

 

1비트는 0 ~ 1 까지 2개의 정보를 보관할 수 있고 (2^1 = 2)

2비트는 0 ~ 3까지 4개의 정보를 보관할 수 있고, (2^2 = 4)

3비트는 0 ~ 7까지 8개의 정보를 보관할 수 있고, (2^3 = 8)

4비트는 0 ~ 15까지 16개의 정보를 보관할 수 있고, (2^4 = 16)

5비트는 0 ~ 31까지 32개의 정보를 보관할수 있습니다. (2^5 = 32)

+ Recent posts